수석전문위원 장정희입니다.
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검토보고 드리겠습니다.
제안설명을 통해서 예산안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황기연 기획조정실장님으로부터 충분한 설명이 있었으므로 검토의견만 보고드리겠습니다.
21쪽입니다.
2023년도 기획조정실 소관 일반회계 예산안 규모는 세입예산은 1조 3552억 58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273억 9900만 원 증액되었고 세출예산은 3099억 28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21억 7800만 원 감액 편성되었습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세외수입은 지역상생발전기금 등 4건, 180억 61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30억 원, 지방교부세는 보통교부세 1조 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4억 원, 보조금은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등 9건, 371억 97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59억 9900만 원 각각 증액되었습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입니다.
2023년도 신규 편성된 사업은 총 13건, 33억 3500만 원으로 예산안 412쪽 전국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발굴 공유는 광주전남연구원 수행으로 민선 8기 도지사 공약 적극 이행을 위해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 우수사례 발표 등 1억 원 신규 편성하였습니다.
민선 7기 도지사 공약 이행률은 96%로 전국 시도지사 공약 이행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은 사례를 보면 본 사업은 형식적 행사로 개최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업의 필요성과 과다계상 여부, 해당 수탁기관 선정 사유 등 설명이 필요합니다.
예산안 422쪽,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시범사업 1차 연도 사업비 5억 원과 전남형 지역성장 전략사업 2단계 사업 1차 연도 사업비 8억 원은 사업추진 및 예산편성 절차상 문제점이 있어 보입니다.
2020년부터 시작한 전남형 지역성장 전략사업 부진 사유는 도의 사전 준비가 미흡했고 시군이 사업에 선정된 후 사전절차 이행을 시작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와 2단계 지역성장 전략사업은 시군에 사전에 계획을 안내하고 홍보하여 자발적으로 준비할 시간을 줘야 합니다. 사업대상 시군을 먼저 선정하고 투자심사를 이행한 후에 예산을 편성하는 사업추진 절차도 반드시 지켜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23쪽입니다.
예산안 412쪽, 광주전남연구원 운영경비 출연은 전년과 동일한 35억 원으로 연구원 통합 전 1인 평균 연구량은 8.9건으로 통합 후 5.7건으로 연구실적이 저조하고 지난 출연금 동의안 심사 시에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억 원의 순세계잉여금이 발생하고 있어 이월액 상당액을 감액한 출연금 편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었습니다.
예산안 427쪽, 예산낭비신고는 전년과 동일한 2000만 원으로 전라남도 예산절감 및 예산낭비 사례 등 공개에 관한 조례에 따라 보조금 부정수급, 예산 절감 등에 기여한 자에게 지급하는 성과급으로서 최근 3년간 포상금 지급실적이 없습니다.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산바로쓰기 도민감시단의 역량 제고 및 감시활동 등 지원으로 예산낭비 신고 질적 개선에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산안 439쪽, 권역별 규제혁신 토론회 2000만 원은 기업의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규제 발굴, 해소를 위한 것으로 당초 사업계획을 4개 권역에서 1건으로 변경한 사유 등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도 역점사업인 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하에서 신기술, 신산업 규제를 면제·유예하는 제도인 규제샌드박스 관련 사업발굴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산안 443쪽, 장애인 정보화 집합교육 기관지원 1억 4500만 원은 장애인 교육수요와 국비 지원 축소를 고려해 도 자체 사업으로 별도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비슷한 국비 사업으로 장애인 정보화 집합교육 기관지원 1억 400만 원이 추진되고 있으나 한글, 스마트폰 이용 등 기초교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취업 맞춤형 교육 신설로 직업 기회를 제공한다면 기존 사업과 차별화되고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25쪽입니다.
예산안 464쪽, 혁신도시 발전재단 설립 추진에 따른 연구용역 실시 5000만 원은 발전기금을 합리적으로 운영할 재단 설립의 사전절차로 지난 해 전남도와 나주시, 광주시가 발전기금 출연에 합의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2022년도 본예산에 편성하고 결국 집행하지 못해 정리추경에서 전액 삭감한 것입니다.
지난 7월 나주시가 50억 원을 출연하는 것으로 협약을 체결했으나 사용처 및 관리 주체 등 세부 운영에 대한 3개 지자체의 합의가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산편성이 타당한 것인지 동일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면밀한 심사가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기금운용 계획안입니다.
먼저, 통합재정안정화기금 통합계정 수입과 지출계획안은 각각 802억 93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233억 6100만 원 증액되었습니다.
수입 계획을 보면 예탁금 원금회수는 일반회계 융자 77억 원으로 52억 2000만 원, 예치금 회수 689억 9500만 원으로 165억 8800만 원, 예수금이 광역교통특별회계 12억 2000만 원으로 6억 800만 원, 이자 수입 23억 5800만 원으로 9억 4600만 원 등 총 233억 6100만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지출 계획을 보면 예수금 원금상환은 일몰된 기금을 상환하기 위해 280억 원, 예수금 이자상환은 통합계정에 예탁한 기금과 특별회계 예수금 이자 상환을 위해 23억 5800만 원을 지출할 계획이며, 예치금은 수입에서 예수금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금액을 예치할 계획으로 예수금 원금과 이자 304억 원이 증가됨에 따라 58억 9100만 원 감액되었습니다.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재정안정화계정 수입과 지출계획안은 각각 1279억 4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822억 9100만 원 증액되었습니다.
수입 계획을 보면 공공예금 이자 13억 3600만 원, 예치금 회수 809억 5200만 원, 기타회계 전입금 3000만 원이 각각 전년 대비 증액되었습니다.
지출 계획을 보면 차입금 이자 상환 1억 9200만 원, 예수금 이자 상환 35억 1200만 원과 예수금 원금 상환 28억 1300만 원이 각각 전년 대비 감액되었고 예치금은 수입에서 차입금과 예수금 원리금을 상환하고 남은 금액을 예치할 계획으로 전년 대비 888억 800만 원 증액되었습니다.
27페이지입니다.
지역개발기금 수입과 지출계획안은 각각 9228억 39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694억 8800만 원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수입 계획을 보면 공사 등 융자금 회수수입 500억 원과 시군 융자금 회수수입 40억 원이 각각 전년 대비 증액되었고 예탁금 원금 회수수입이 회수시기 미도래로 인해 전년 대비 40억 3400만 원 감액되었으며, 예치금 회수는 융자금 수입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1171억 원 증액되었습니다.
주요 지출 계획을 보면 차입금 이자상환 162억 2000만 원과 차입금 원금상환 2419억 7000만 원, 예치금은 추가 융자수요 등을 고려해 융자금과 지역개발채권을 상환하고 남은 자금의 예비비 성격으로 6467억 4300만 원 편성되었습니다.
이상으로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