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국장 박영수입니다.
전라남도교육비특별회계 2023년도 세입·세출 예산안 개요를 설명드리겠습니다.
2쪽입니다. 먼저 세입예산입니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등 중앙정부 이전수입은 지난해보다 7464억 원이 증액된 4조 4877억 원이며, 법정 이전수입 등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및 기타 이전수입은 지난해보다 786억 원이 감액된 4173억 원입니다.
이자수입 등 자체수입은 지난해보다 69억 원이 증액된 117억 원이고 기타수입은 전년도 이월금으로 910억 원으로 세입 합계는 지난해보다 6747억 원이 증액된 5조 77억 원입니다.
3쪽입니다. 다음은 세출예산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유아 및 초·중등 교육은 5504억 원이 증액된 2조 4560억 원, 평생교육은 5억 원이 증액된 166억 원이며, 교육일반은 394억 원이 증액된 2146억 원입니다.
예비비는 515억 원이며, 인건비는 845억 원이 증액된 2조 2691억 원으로 세출 합계는 지난해보다 6747억 원이 증액된 5조 77억 원입니다.
4쪽입니다. 예산안 주요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세입예산의 재원별 내용은 첫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지원받은 이전수입이 4조 9050억 원입니다.
중앙정부 이전수입은 4조 4877억 원으로 보통교부금과 특별교부금 등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4조 3320억 원이며, 5쪽입니다.
그린스마트스쿨 조성 등 국고보조금이 414억 원, 유아교육지원 특별회계전입금은 1144억 원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은 4163억 원으로 지방교육세와 도세 전입금 등 법정 이전수입이 3184억 원, 무상급식비 등 비법정 이전수입이 979억 원이며, 6쪽입니다. 기타 이전수입은 10억 원입니다.
7쪽입니다.
둘째, 자체수입은 117억 원으로 사용료와 수수료 등 행정활동 수입 4억 원, 임대 및 매각수입 등 자산수입 51억 원, 정기예금 등 이자수입 62억 원, 셋째, 기타수입은 순세계잉여금 추정액으로 910억 원입니다.
8쪽입니다. 이어서 세출예산에 대해서 우리 도 시책사업순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질문·탄성·웃음의 공부하는 학교에 419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배움을 키우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해 교과형 도서 개발 보급 6억 원, 복식 및 겸임 순회교사 운영 15억 원 등 33억 원을 계상하였으며,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해 유치원 교수학습 활동 지원 21억 원, 누리과정 교육비 지원 1222억 원, 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 31억 원 등 1658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9쪽입니다.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해 239억 원을 계상하였고, 자기주도적 삶을 설계하는 진로·진학 교육 지원을 위해 진로교육 활성화 59억 원, 진학지원 사업 48억 원 등 112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생애단계별 맞춤형 특수교육 운영 지원을 위해 특수학급 운영 41억 원, 특수교육 대상자 통학 및 방과후 활동비 지원 62억 원, 특수교육 종일반 보육교실 운영 56억 원,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29억 원, 10쪽입니다.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27억 원 등 230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일반고 교육력 강화를 위해 107억 원, 학생 주도 배움중심 수업 활성화를 위해 14억 원, 배움과 성장중심의 학생평가 내실화를 위해 23억 원을 계상하였고, 교직원 미래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공무원 연수 47억 원, 교원연수 137억 원 등 215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11쪽입니다.
전남형 온라인학습 J-MOOC 구축 3억 원,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7억 원, 가정-학교-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인성교육을 위해 2억 원을 계상하였고, 참여와 협력의 학생자치 활성화를 위해 청소년미래도전프로젝트 운영 19억 원, 학생 야영·수련활동 지원 48억 원, 학생 자치활동 지원 12억 원 등 89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배려하고 존중하는 학교생활교육 내실화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 41억 원, 학생생활지도 지원 23억 원 등 66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역사교육 및 평화통일교육 내실화를 위해 15억 원을 계상하였고, 12쪽입니다.
건강한 삶을 가꾸는 체육, 보건, 영양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국체육대회 등 각종 체육대회 지원 132억 원, 체육선수 육성 33억 원, 체육시설 및 교구확충 412억 원, 학생 감염병 예방 관리 123억 원, 흡연예방 교육 14억 원, 학생건강증진 통합교육 운영 10억 원 등 1152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작은 학교 교육력 회복 지원을 위해 170억 원, 13쪽입니다.
학생 맞춤형 심리·정서 상담 및 교육지원 강화를 위해 학생 정신건강 관리 22억 원, Wee센터 및 클래스 구축 운영 31억 원 등 5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둘째, 상상·도전·창조의 미래교육에 6083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생각의 힘을 키우는 독서인문교육을 위해 독서논술 활성화 지원 19억 원,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13억 원,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72억 원, 도서관 운영 및 자료 확충 59억 원 등 186억 원을 계상하였고, 심미적 감성으로 공감하는 예술교육을 위해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48억 원, 예술강사 운영 19억 원 등 67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14쪽입니다.
창의력을 키우는 과학·수학 교육을 위해 과학교육 내실화 지원 18억 원, 지능형 과학실 구축 53억 원, 창의융합교육관 운영 18억 원 등 11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AI·SW교육을 위해 스마트교육 활성화 지원 146억 원, AI교실 및 교구비 확충 122억 원, ICT 활용 교육자료 개발·보급 19억 원 등 299억 원을 계상하였고, 모든 학생의 재능을 계발하는 영재교육을 위해 40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15쪽입니다.
생태 전환을 위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5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배움과 체험의 다문화 교육을 위해 다문화가정 운영 지원 등 33억 원을 계상하였고, 글로벌 역량을 기르는 외국어교육을 위해 영어회화 전문강사 운영 65억 원, 외국어체험센터 운영 17억 원, 원어민 교원 운영 60억 원, 해외영어봉사 장학생 프로그램 운영 16억 원 등 184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전남형 미래학교 운영을 위해 혁신학교 운영 115억 원, 16쪽입니다.
통합운영학교 운영 363억 원 등 478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미래형 학습공간 조성을 위해 3601억 원, 미래형 학교 신·이설 추진을 위해 518억 원을 계상하였고, 미래교육 대비 정보 인프라 구축 운영을 위해 인터넷 통신비 지원 53억 원, 컴퓨터 보급 97억 원, 노후 학내망 개선 28억 원, 정보화기기 119센터 운영 17억 원 등 386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현장 중심의 학교업무 정상화 추진을 위해 12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7쪽입니다.
셋째, 참여·협력·연대의 교육공동체에 598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현장기반 교육정책 강화를 위해 17억 원, 교육정책 홍보 강화를 위해 41억 원,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확대를 위해 15억 원을 계상하였고, 학업중단 예방 강화를 위해 대안교육 학교 지원 21억 원 등 37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18쪽입니다.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내실화를 위해 16억 원, 우수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8억 원,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72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학교와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NCS 기반 실험실습 여건 개선 80억 원, 마이스터고 육성 36억 원 등 166억 원을 반영하였고, 미래지향 맞춤형 직업교육 운영을 위해 취업 지원 강화 프로그램 운영 82억 원, 특성화고 학과 및 체제 개편 12억 원 등 111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19쪽입니다.
전남 농산어촌 유학 활성화를 위해 28억 원, 삶의 가치를 높이는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42억 원, 학력인정 평생교육 시설 지원 22억 원 등 83억 원을 계상하였으며, 모두가 성장하는 교육생태계 구축을 위해 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넷째, 공정·안전·존중의 신뢰행정에 1조 175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청렴한 교육행정을 위해 15억 원, 20쪽입니다.
열심히 일하는 교직원이 대우받는 공정한 인사를 위해 51억 원, 학교회계 자율성, 책임성 강화를 위해 2937억 원, 사학의 공공성 및 투명성 강화를 위해 419억 원을 계상하였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안전한 학교 환경 구축을 위해 실내 공기질 개선 및 측정 160억 원, 21쪽입니다.
학교 소독 및 먹는 물 관리 49억 원, CCTV 설치 및 통합관제센터 운영 79억 원, 교사 정밀점검 및 재난안전시설 개선 602억 원, 내진보강 및 석면 교체 666억 원, 교실대수선 등 교육환경개선 시설 3174억 원, 22쪽입니다.
민간투자사업 유치 및 상환 135억 원 등 4740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학교급식 운영 지원 확대를 위해 지역 농수축산물 식재료 지원 175억 원, 급식시설 개선 164억 원, 급식기구 확충 및 교체 68억 원 등 468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방과후 학교 및 돌봄교실 강화를 위해 방과후 학교 운영비 지원 170억 원, 초등 돌봄교실 운영 250억 원 등 488억 원을 계상하였고, 보편적 무상교육복지 강화를 위해 무상급식 지원 1031억 원, 교과서 지원 211억 원, 학교운영비 지원 105억 원, 23쪽입니다.
통학버스 운영 지원 366억 원, 교복 및 체육복 지원 130억 원 등 1960억 원을 반영하였으며, 학생 교육복지 지원 강화를 위해 토·공휴일 중식 지원 69억 원, 저소득층 자녀 정보화 지원 32억 원, 교육급여 지원 84억 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51억 원 등 249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교직원 복지 여건 개선을 위해 맞춤형복지비 262억 원, 교직원 편의시설 개선 118억 원 등 420억 원을 계상하였고, 교육공무직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4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24쪽입니다.
마지막으로 대전환 과제 추진에 570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성장단계별 평가 및 학습이력 관리를 위해 기초학력 향상 지원 127억 원, 천천히 배우는 학생 지원 8억 원, 수업이 가능한 교실 만들기 지원에 27억 원을 반영하고 AI 활용 수준별 맞춤형 교육을 위해 AI 맞춤형 온라인 학습콘텐츠 보급 25억 원, 미래교실 수업을 위한 태블릿PC 보급 286억 원, 정품 소프트웨어 보급 38억 원, 스마트 수학교실 환경 구축 8억 원, AI 수학 점핑학교 운영에 4억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전남교육 거버넌스 구축 운영에 10억 원, 학습권과 교원이 조화로운 학교문화 조성에 5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교육공무직을 포함한 공사립학교 교직원 인건비는 2조 4858억 원을 계상하였고, 행정기관 운영 및 시설비에 1974억 원, 폐교재산 매각대금 관리기금 등 기금 전출금에 50억 원을 반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예산안 개요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