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전문위원 이형래입니다.
전라남도교육비특별회계 2021회계연도 결산 승인의 건에 대해 검토보고 드리겠습니다.
제안 경위, 제안설명 요지는 생략하고 8쪽 검토의견부터 보고드리겠습니다.
결산 개요입니다.
세입·세출 예산현액 4조 4347억 원에 대하여 세입 결산액은 예산현액의 100.4%인 4조 4512억 원을 수납하였고, 세출 결산액은 예산현액의 95.4%인 4조 2289억 원을 지출하여 세계잉여금은 2223억 원입니다.
세계잉여금은 명시이월 408억 원, 사고이월 100억 원, 계속비 이월 759억 원, 보조금 반환액 6억 원, 순세계잉여금 950억 원입니다.
다음은 9쪽 세입결산입니다.
세입결산액은 4조 4512억 원으로 예산현액 4조 4347억 원 대비 165억 원을 초과 수납하였습니다.
10쪽 세입추계 개선의견입니다.
세입은 예산현액 대비 165억 원을 초과한 4조 4512억 원을 징수 결정하였습니다. 예산현액과 징수결정액 간 차액 내역을 살펴보면 중앙정부 이전수입 132억 원, 자산수입 17억 원, 기타수입 28억 원 등이 초과 수납되었는바, 앞으로 세입추계 오차를 줄여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려는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또한 세입추계가 부정확하거나 초과세입이 과도할 경우 재정건전성 악화와 효율적인 재정집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보다 면밀하고 정확한 검토를 통해 합리적인 재정운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다음은 14쪽 세출결산입니다.
지출액은 예산현액 4조 4347억 원의 95.4%인 4조 2289억 원이며, 이월액은 1267억 원, 집행잔액은 791억 원입니다.
15쪽 불용액 발생 최소화입니다.
불용액은 791억 원으로 매년 발생하는 불용액이 재정투입이 필요한 다른 사업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아 한정된 재정의 합리적인 자원 배분에 저해하는바, 사업의 조기발주, 정확한 예산추계와 함께 변동사항 발생 시 추경편성 등으로 불용액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은 18쪽 예산의 이용·전용·이체입니다.
예산 이용은 없으며 예산 전용은 7건에 19억 원이고 예산 이체는 16건에 141억 원입니다.
21쪽 이월사업은 총 40건에 1267억 원으로 명시이월은 태블릿PC 구입 등 12건에 408억 원, 사고이월은 장흥고 본관동 개축공사 등 9건에 100억 원, 계속비 이월은 광양 창의융합교육관 구축 등 19건에 759억 원입니다.
다음은 22쪽 이월사업 과다 발생 방지입니다.
예산현액 대비 50% 이상 이월사업은 10건에 381억 원이며 주요 이월 사유는 원자재 공급 부족 및 설계용역 사업추진 기간 부족 등입니다.
이월사업비는 예산현액으로 관리되는 특성상 추경을 통한 타 사업으로 변경이 불가하므로 향후 사업계획 수립 및 예산편성 시부터 사전 면밀한 검토를 통해 이월이 발생하는 사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적극 노력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24쪽 예비비 지출입니다.
2021회계연도 예비비 사용 결정액 및 지출액은 없습니다.
다음은 25쪽 기금 결산입니다.
2021년도 12월 말 현재 총 6개 기금 중 4개의 기금이 조성되어 조성금액은 1380억 원입니다. 조성된 기금 중 전라남도교육원 주택임차지원 사업기금은 교직원 전세자금 대출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 남북교육교류 협력기금, 폐교재산 매각대금 관리기금, 교육시설 환경개선기금의 경우 1353억 원의 적립액만 있고 기금 운용 실적은 없습니다.
그밖에 지방채상환기금과 통합재정안정화기금은 조례만 제정되어 있고 기금 조성 실적은 없습니다.
기금이 당초 조성한 목적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실 있는 운영계획이 조속히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아울러 여유자금에 대해서는 이자율이 높은 정기예금으로 관리하여 기금의 활용도 및 건전성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음 26쪽부터 35쪽의 재무제표, 공유재산 및 물품 결산, 채권·채무 결산, 성인지 결산 검토내용은 유인물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