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원장 박홍재입니다.
평소 열정적으로 의정활동을 펴시면서 농촌진흥사업에 깊은 애정과 관심으로 아낌없는 격려와 성원을 주시는 존경하는 신의준 위원장님과 농수산위원님께 깊은 감사의 경의를 표합니다.
오늘 제373회 임시회를 맞이하여 우리 농업기술원의 금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고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보고에 앞서 7월 3일 자로 새로 인사 발령된 간부 공무원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강희상 운영지원과장입니다. (인사)
김재천 농업교육과장입니다. (인사)
보고순서는 일반현황, 주요업무 추진상황, 당면 현안사항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쪽 일반현황입니다. 기구 및 인력은 자료로 갈음하겠습니다.
2쪽 금년도 예산규모입니다. 세입예산은 482억 5400만 원이며 세출예산은 1022억 5100만 원입니다.
3쪽, 4쪽 재산현황 및 부서별 분장사무는 자료로 갈음하겠습니다.
9쪽 연구개발국, 친환경농업연구소 소관입니다.
11쪽입니다. 우리 도에 문제가 예상되는 돌발 병해충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과수 화상병, 무화과곰보바구미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방제법을 개발하여 보급도록 하겠습니다.
12쪽입니다. 우리 도에서 생산된 농특산 자원을 이용한 치유형 메디푸드 가공제품 2종과 고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가정 간편식 토란, 조롱이떡, 갓 시래기 등 4종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식량작물연구소 소관입니다.
15쪽입니다. 노지 스마트 농업 기술개발을 위해 벼 스마트 농작업 모델과 양파, 감자 기계화 표준 재배 모델을 개발하고 콩 디지털 농업 테스트베드를 시험 운영토록 하겠습니다.
원예연구소 소관입니다.
18쪽입니다. 로열티 대응 원예작물 신품종 육성은 양파, 상추, 수국 등 6작목을 생산성, 고기능성, 연중 개화성, 수출 적합성 등에 목표를 두고 품종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쪽입니다. 보급형 스마트팜 기술 고도화를 위해 영상기반 생육진단 및 예측을 위한 딸기 등 4개 작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사, 강우 센스기반 스마트 관수 장치를 양파와 대파를 대상으로 2개소에서 실증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1쪽입니다. 또한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 도입대상 작목인 만감류, 망고, 딸기 등에 대한 스마트 재배 기술을 개발하여 보급도록 하겠습니다.
차산업연구소 소관입니다.
24쪽입니다. 국산 커피의 고급화와 산업화를 위해 카투라 등 11종의 유용 유전자원을 수집하였으며 k-커피 고급화를 위한 원두, 드립백 등 소재개발과 제품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6쪽입니다. 차 음료 소재화 기술개발 적용 가공제품으로 유자, 홍차베이스 등 4종을 개발하였으며 홍차 속성 제조기술 특허는 5월에 주식회사 월드티에 기술 이전하였습니다.
과수연구소 소관입니다.
30쪽입니다.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 과수품종 개발은 석류, 비파, 키위이며 국내 보급면적은 키위가 204㏊, 비파 37㏊이며 바나나, 파인애플, 레몬 재배에 대한 매뉴얼과 병해충 방제효율 증진 기술개발은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31쪽입니다. 지역 특화 작목인 유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동해경감과 기상재해 예방을 위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씨 없는 유자개발을 위한 변이집단 육성 및 유전자원 1000개 개체를 수집 평가 중에 있습니다.
곤충잠업연구소입니다.
35쪽입니다. 창업,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기능성 양잠교육과정 개설과 경영실습장 운영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봄 누에씨 800상자를 8개 시군 43농가에 보급하였습니다.
36쪽입니다. 화분 매개 곤충인 서양종꿀벌과 뒤영벌의 단감수분 효과를 비교 실험하고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 토종벌 신품종 지역적응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꿀벌자원 육성품종 증식장 사업은 영광 낙월도에서 추진 중에 있습니다.
축산연구소입니다.
41쪽입니다. 흑염소 우량계통 육성과 브랜드 육성을 위해 유전적 우수 축군을 확보하였으며 흑염소 전용 발효사료를 개발하고 기술지원 서비스 향상을 위한 유튜브 소통 채널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흑염소 소비시장 확대를 위한 가공제품과 새로운 조리법을 개발 보급하고 대형마트, 홈쇼핑 등의 판매 유통 채널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기술지원국 소관입니다.
농촌지원과 소관입니다.
48쪽입니다. 청년농 창업기반 조성, 안정적인 영농정착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청년농업인 단계별 맞춤형 영농정착 지원, 청년 창농타운 교육과정 운영,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원스톱 패키지 지원, 청년 4H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영실습 임대농장과 스마트팜 자립기반 구축을 확대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49쪽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는 금년 10월 말에 준공식을 가질 예정에 있습니다.
기술보급과 소관입니다.
56쪽입니다. 식량작물 자급률 향상과 소비 확대를 위해 가루쌀, 밀-콩 이모작 생산가공 체계구축, 최고품질 쌀 재배 생산단지 조성, 벼 육묘이앙 자동화 단지조성 등 28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10월에 개최되는 세계 김밥 페스타, 우리 쌀·밀 제과제빵 경진대회를 적극 지원토록 하겠습니다.
59쪽입니다. 이상기상 선제적 대응과 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해 농장 맞춤형 기상재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해충 예찰포와 관찰포 379개소를 운영하며 잔류농약분석실을 12개소로 확대 운영 토록 하겠습니다.
59쪽입니다. 전남형 스마트팜 기술과 AI 기술 현장 확산을 위해 전남 보급형 스마트팜 단지 25개소, 테스트베드 교육장 조성 및 고도화 3개소, AI 기반 자동예찰과 시설채소 양수분 관리 10개소, 노지작물 스마트 관수 시스템 사업 3개소 등을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60쪽입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유망작물 발굴을 위해 지역 특화작목 신기술 선도단지 2개소, 1시군 1특화작목 육성 5개소, 미래전략 지역 특화작목 육성 10개소 3개 사업 17개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농업교육과 소관입니다.
66쪽입니다. 기후변화와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전문기술 교육은 농업기술 기반 마련 전문 특화 교육, 청년 중소농 귀농 정보화 교육, 스마트 농업기계 교육 등 76과정 231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67쪽,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을 위해 농업마이스터 대학, 생명농업대학, 농업경영자 과정 등 26과정 520명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원경영과 소관입니다.
70쪽입니다.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전남 Top 경영모델 개발은 콩 등 5작목을 대상으로 어깨동무컨설팅 및 경영개선 지원사업은 11작목 125명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생산자 패널 시스템 운영으로 농가 경영실태 변화와 기술수요, 정책 요구사항 등을 조사 분석 중에 있습니다.
71쪽입니다. 신제품 시장 진입 지원을 위해 강황 등 4종을 시장 테스트와 콩가루 등 9품목에 대한 판로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으며 유통업계 연계 우수 농산물 판매 기획전은 8월과 10월에 서울과 순천에서 개최할 계획에 있습니다.
72쪽입니다.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 특화 수출 가공식품 떡 등 10개 품목을 발굴하였으며 수출 확대 종합 컨설팅 지원을 확대하고 유학생 연계 온라인 수출 판매대회를 강진, 고흥에서 개최하여 수출시장 개척을 지원토록 하겠습니다.
76쪽입니다. 농촌체험과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해 농촌자원 연계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9개소에 지원하고 학교 교육과정 연계 농촌체험교육 기반은 고흥, 보성, 함평에 조성 중에 있으며 농업·농촌 식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 소득화 사업은 화순 등 6개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77쪽 당면 현안은 자료로 갈음하겠습니다.
82쪽 민선 8기 역점 사업입니다. 농업기술원에는 3대 공약인 디지털 농업 R&D 인프라 구축, 청년 임대농장, 청년 창농타운 사업확대, 2023 국제농업박람회 성공 개최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존경하는 신의준 위원장님 그리고 농산위원 여러분!
방금 보고드린 바와 같이 농업기술원에서는 농업인들의 실질적인 소득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촌진흥사업 추진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오늘 업무보고 시 위원님들께서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해 주신 사항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농촌진흥사업 추진에 애정 어린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리며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